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정보보안기사102

[정보보안기사] 6.애플리케이션 보안 - 스턱스넷(Stuxnet) 스턱스넷(Stuxnet)이란 무엇인가요? 스턱스넷(Stuxnet)은 2010년에 발견된 컴퓨터 악성코드로, 사이버 공격의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입니다. 이 악성코드는 이란의 핵 프로그램을 타겟으로 했으며, 산업 시설의 제어 시스템을 침입하여 파괴적인 피해를 입히는 것이 목적이었습니다. 스턱스넷은 특별히 고도로 정교하게 개발되어, 공격 대상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악용하여 제어 시스템을 조작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했습니다. 이로 인해 이란의 핵 시설은 큰 피해를 입었고, 사이버 공격의 새로운 차원을 보여주는 사례로 주목받았습니다. 스턱스넷은 사이버 보안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사례 중 하나로 꼽히며, 이후 다양한 유형의 사이버 공격에 대한 대비와 방어가 강화되었습니다. 스턱스넷(Stuxnet)은 어떻게 .. 2024. 1. 31.
[정보보안기사] 6.애플리케이션 보안 - 디렉터리 리스팅 취약점(Directory Listing Vulnerability, DLV) 디렉터리 리스팅 취약점(Directory Listing Vulnerability, DLV)이란 무엇인가요? 디렉터리 리스팅 취약점(Directory Listing Vulnerability, DLV)은 웹 서버에서 디렉터리에 포함된 파일과 폴더 목록을 외부에 공개하는 취약점입니다. 일반적으로 웹 서버는 디렉터리에 대한 접근 권한을 제어하고, 디렉터리 안에 있는 파일과 폴더를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도록 설정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디렉터리 리스팅 취약점이 존재할 경우, 웹 서버는 디렉터리에 대한 접근 권한을 체크하지 않고, 디렉터리 안에 있는 파일과 폴더 목록을 외부에 노출시킵니다. 이로 인해 공격자는 웹 서버의 디렉터리 구조와 포함된 파일들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됩니다. DLV는 공격자에게 다양한 위험을 초.. 2024. 1. 30.
[정보보안기사] 6.애플리케이션 보안 - 웹셸 공격(webshell attack) 웹셸 공격(webshell attack)이란 무엇인가요? 웹셸 공격은 악의적인 공격자가 웹 서버에 악성 스크립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업로드하여 원격으로 웹 서버에 접근하고 제어하는 공격입니다. 이러한 웹셸은 공격자에게 웹 서버의 시스템 명령을 실행하고 파일을 업로드, 다운로드, 수정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합니다. 웹셸 공격은 공격자가 웹 서버를 마음대로 조작하고 민감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하므로 심각한 보안 위협으로 여겨집니다. 따라서 웹 개발자와 시스템 관리자는 웹 서버의 보안을 강화하고, 적절한 인증 및 권한 제어, 웹 애플리케이션의 취약점 점검 등을 통해 웹셸 공격을 예방해야 합니다. 웹셸 공격(webshell attack)은 어떻게 동작하나요? 웹셸 공격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동작할 수 있습니.. 2024. 1. 29.
[정보보안기사] 6.애플리케이션 보안 - CSRF(Cross Site Request Forgery, 크로스 사이트 리퀘스트 변조) CSRF(Cross Site Request Forgery, 크로스 사이트 리퀘스트 변조)이란 무엇인가요? CSRF(Cross Site Request Forgery)는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취약점 중 하나입니다. 이는 공격자가 희생자의 권한을 이용하여 원치 않는 요청을 보내는 공격 방법입니다. 공격자는 희생자가 이미 인증된 상태로 웹 사이트에 접속한 경우를 노리고, 악성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희생자의 브라우저에서 원치 않는 요청을 발생시킵니다. 이러한 요청은 희생자의 권한을 이용하기 때문에, 공격자는 희생자의 계정으로부터 중요한 작업을 수행하거나, 개인정보를 탈취할 수 있습니다. CSRF 공격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보안 관련된 기술과 개발적인 대책이 필요합니다. 흔히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요.. 2024. 1. 26.
[정보보안기사] 6.애플리케이션 보안 - XSS(Cross Site Scripting, 크로스 사이트 스트립팅) XSS(Cross Site Scripting, 크로스 사이트 스트립팅)이란 무엇인가요? XSS(Cross Site Scripting, 크로스 사이트 스트립팅)은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취약점 중 하나입니다. 이 취약점은 악의적인 사용자가 웹 페이지에 악성 스크립트를 삽입하여 다른 사용자의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공격입니다. XSS 공격은 주로 사용자의 입력값을 신뢰하지 않고 웹 페이지에 출력할 때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웹 사이트의 채팅 기능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을 그대로 웹 페이지에 표시하는 경우, 악의적인 사용자가 스크립트를 삽입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악의적인 행동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XSS 공격의 결과로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 유출, 계정 탈취, 세션 하이재킹 등의 보안.. 2024. 1. 25.
[정보보안기사] 6.애플리케이션 보안 - SQL Injection(Structured Query Language Injection Attack) SQL Injection(Structured Query Language Injection Attack)이란 무엇인가요? SQL Injection(Structured Query Language Injection Attack)은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취약점 중 하나입니다. 이 공격은 악의적인 사용자가 웹 애플리케이션의 입력 폼 등을 통해 악의적인 SQL 문을 삽입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비인가된 액세스를 시도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웹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쿼리를 전달하는데, 이때 사용자의 입력은 검증되지 않은 채로 쿼리에 직접 포함될 수 있습니다. 악의적인 사용자가 이를 이용하여 SQL 문을 조작하면,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비인가된 액세스, 데이터의 .. 2024. 1. 24.
[정보보안기사] 6.애플리케이션 보안 - TLS(Transport Layer Security,전송 계층 보안) TLS(Transport Layer Security,전송 계층 보안)이란 무엇인가요? TLS(Transport Layer Security, 전송 계층 보안)는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 통신하는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 사이의 보안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입니다. 이 보안 프로토콜은 데이터의 기밀성, 무결성, 인증을 보장하여 안전한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TLS는 주로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의 통신에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에 주고받는 데이터는 TLS 프로토콜을 통해 암호화되어 전송됩니다. 이를 통해 제3자가 데이터를 엿들을 수 없고, 데이터가 변조되지 않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TLS는 다양한 암호화 알고리즘과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보안을 제공합니다.. 2024. 1. 23.
[정보보안기사] 6.애플리케이션 보안 - SSL(Secure Sockets Layer, 보안 소켓 계층) SSL(Secure Sockets Layer, 보안 소켓 계층)이란 무엇인가요? SSL은 Secure Sockets Layer의 약자로, 네트워크 통신에서 보안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입니다. 웹 사이트를 비롯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며, 데이터의 안전한 전송을 보장하기 위해 암호화와 인증 기능을 제공합니다. SSL은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을 암호화하여 제3자가 중간에서 데이터를 엿볼 수 없도록 보호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개인 정보와 민감한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습니다. SSL은 최근에는 보다 안전한 프로토콜인 Transport Layer Security (TLS)로 대체되었으며, 두 용어는 혼용되어 사용될 때가 많습니다. SSL(Secure Sockets Layer)은 어떻게 동작.. 2024. 1. 22.
[정보보안기사] 6.애플리케이션 보안 - S/MIME(Secure/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 다목적 인터넷 전자우편 보안) S/MIME(Secure/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이란 무엇인가요? S/MIME(Secure/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은 전자 메일 보안을 위한 표준 기술입니다. S/MIME은 메일 메시지의 기밀성, 무결성 및 인증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기술은 전자 서명, 암호화 및 인증 등의 기능을 제공하여 안전한 전자 메일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S/MIME을 사용하면 메일의 송신자와 수신자 모두가 메일 메시지의 진정한 송신자를 확인하고, 메시지가 변경되지 않았음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또한, 메일 메시지를 암호화하여 제3자로부터의 무단 접근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S/MIME은 공개 키 암호화 기술을 사용하며, 디지털 인.. 2024. 1. 19.
[정보보안기사] 6.애플리케이션 보안 - PGP(Pretty Good Privacy) PGP(Pretty Good Privacy)이란 무엇인가요? PGP(Pretty Good Privacy)는 암호화와 전자 서명을 위한 프로그램입니다. PGP는 개인 정보 보호를 강화하기 위해 개발된 암호화 기술로, 전자 메일이나 파일 전송 시에 보안을 제공합니다. 이 프로그램은 대칭 키와 공개 키 암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합니다. PGP를 사용하면 메일이나 파일을 암호화하여 오직 수신자만이 해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전자 서명을 통해 송신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으며,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개인 정보와 기밀성을 보호하고, 데이터의 변조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PGP는 널리 사용되는 암호화 프로그램 중 하나로, 개인 및 기업에서 안전한 커뮤니케.. 2024. 1. 18.
[정보보안기사] 6.애플리케이션 보안 - PEM(Privacy Enhanced Mail, 프라이버시 향상 전자 우편) PEM(Privacy Enhanced Mail, 프라이버시 향상 전자 우편)이란 무엇인가요? PEM(Privacy Enhanced Mail)은 프라이버시 향상 전자 우편의 약자로,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를 강화하기 위해 개발된 표준화된 전자 우편 프로토콜입니다. PEM은 전자 우편의 기밀성, 무결성, 인증 및 원본 보호를 보장하기 위해 암호화와 서명을 사용합니다. PEM은 전자 우편을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해 다양한 보안 기술과 알고리즘을 활용합니다. 이를 통해 전송되는 메시지의 내용이 누출되거나 변조되는 것을 방지하고, 송신자의 신원을 확인하며, 메시지의 원본 여부를 검증할 수 있습니다. PEM은 기존의 전자 우편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보안 기능을 추가하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를 .. 2024. 1. 17.
[정보보안기사] 6.애플리케이션 보안 -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간이 전자 우편 전송 프로토콜)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간이 전자 우편 전송 프로토콜)이란 무엇인가요? SMTP는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간이 전자 우편 전송 프로토콜입니다. 이는 인터넷을 통해 전자 메일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준 프로토콜입니다. SMTP는 전자 메일을 발송하는 클라이언트와 메일 서버 사이의 통신을 관리하며, 메일을 안정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규칙과 절차를 정의합니다. SMTP는 일반적으로 전자 메일 송신자가 메일을 보내기 위해 사용되며, 메일 수신자의 메일 서버로 메일을 전송합니다. 전송 과정에서 SMTP는 메일의 제목, 본문, 수신자 주소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여 메일을 전송합니다. 또한, SMTP는 메일 전송 중에 발생하는 오류.. 2024. 1.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