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두란노] 성경 에센스

성경에센스 - 야고보서 [BibleEssence - James]

by 다니엘(Daniel) 2024. 2. 22.
반응형

 

 

성경에센스 - 야고보서 [BibleEssence - James]

 

 

핵심 단어: 사도 야보고, 강의나 설교 스타일, 교회가 회복해야 할 성숙한 모습, 믿음과 행함, 칭의, 의롭다고 인정받는 선언, 의로움의 전가, 행함의 신학

핵심 주제: 믿음으로 의롭게 되었다면(칭의) 칭의의 신분에 걸맞은 삶을 사는 것(행함)이 요구된다

 

 

요약

 

  야고보서는 행함이 있는 믿음을 설파한 서신이다. 1장 1-18절은 환난 중에 인내하는 믿음을, 1:19-5:6은 행함으로 온전케 되는 믿음을, 5:7-20은 주의 재림까지 믿음으로 살 것을 이야기하고 있다. 핵심 구절은 행함이 없는 믿음을 비판하는 (2:17) 말씀이다.

 

  야고보서는 간결하고 수수하면서도 열정적이고 단호하다. 본서의 목적은 교리가 아니라 실천에 있기 때문이다. 본서는 윤리적 변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래서 본서의 전체 108절 구절 중에 50%인 54절이 명령문이다. 마틴 루터는 야고보서를 "지푸라기 같은 서신서"라고 불렀지만, 야고보서와 바울서신은 상충되는 것이 아니라 상호 보완적이다. 바울이 참된 믿음으로 구원받는다는 점을 강조했다면, 야고보는 구원받은 참된 믿음은 삶의 변화가 따라온다는 점을 강조했다. 말하자면 바울이 칭의를 강조했다면 야고보는 성화를 강조했다. 결국 칭의와 성화는 참되신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를 알고 믿는 신앙(요17:3) 안에서 성도의 신앙 여정상 서로 연결되어 있다(롬8:30).

 

  야고보서는 구약의 지혜문학과 신약의 산상수훈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 야고보서를 "신약의 잠언"이라고 부르는 것은 지혜문학에서 등장하는 도적적인 교훈이 많기 때문이다. 또한 산상수훈의 내용을 15회 정도 언급하면서(1:2,4,2:13,4:11,5:2) 예수님의 가르침을 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야고보는 "신약의 아모스"라고 불리기도 한다. 불공평과 사회 부정에 대해 고발하는 메시지를 전하기 때문이다.

 

  야고보는 예수님의 동생(마13:55)으로 후에 예루살렘 교회의 기둥 같은 지도자가 된다(행15, 갈2:9). 야고보는 AD 62년경 네로의 박해로 총독 안나스에게 처형당해 순교자가 되었다고 전해진다. 야고보서는 "흩어져 있는 열두 지파"(1:1)에게 보낸 것으로 팔레스타인 지경 밖에 있는 디아스포라 유대인 성도들에게 전한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로 야고보서는 수준 폰은 헬라어를 구사하고 있는데, 갈릴리인들은 무지한 사람들일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헬라 도시들과 인접해 있어서 오히려 국제 언어인 헬라어를 수준 높게 구사할 수 있었다. 야고보서의 기록 시기를 AD 60년경 내지는 AD 45년까지라고 추정하는 것은 그리소드이 말씀과 구약성경 외에 다른 특별한 신학에 대한 언급이 없고, "교회"라는 용어 대신 "회당"이라는 용어만 사용하기 때문이다.

 

 

출처 : <보라통독>, 이상준, 두란노, 2021년 

반응형